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서울시7급
- 서울시9급
- 기상직 9급
- 서울시 7급
- 국가직9급
- 정보봉사개론
- 한국사
- 2013 군무원 9급
- 국회직9급
- 자료조직개론
- 경찰1차
- 경찰간부후보
- 지방직7급
- 국회직 9급
- 경찰2차
- 국어
- 기상직9급
- 정보학개론
- 법원직9급
- 2014
- 지방직 7급
- 2013
- 2013 지방직 9급
- 2013 군무원9급
- 2013국가직9급
- 2013 국가직 7급
- 지방직9급
- 해경간부
- 영어
- 해경2차
- Today
- Total
목록국어 (16)
노력[努力];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다하여 애를 씀.

문 1. 동일한 음운 변동 현상을 보여 주는 예들로 묶인 것은?① 늙는, 않고 ② 맏형, 쇠붙이 ③ 산동네, 보름달 ④ 생일날, 추진력 정답: ③ 해설: 산동네[산똥네] - 사잇소리 현상 보름달[보름딸] - 사잇소리 현상 ① 늙는[늑는→능는] - 음절끝소리규칙, 비음화 않고[안코] - 자음 축약 ② 맏형[마텽] - 자음 축약 쇠붙이[쇠부치/쉐부치] - 경구개음화 ④ 생일날[생일랄] - 유음화 추진력[추진녁] - 유음화 예외, 비음화 문 2. 띄어쓰기가 옳은 것은?① 글쎄요, 아마 그 친구가 먼저 갔을 걸요. ② 이분이 우리 총무 팀의 팀장 겸 감..

문 1. 국어의 로마자 표기가 옳지 않은 것은?① 왕십리 - Wangsimri ② 울릉 - Ulleung ③ 백마 - Baengma ④ 학여울 - Hangnyeoul 정답: ① 해설: 왕십리 [왕심니] - Wangsimni ② 울릉 [울릉] - ㄹㄹ 발음은 ll로 표기한다. → Ulleung ③ 백마 [뱅마] - 자음동화를 반영한다. → Baengma ④ 학여울 [학녀울→항녀울] - ㄴ첨가와 자음동화를 반영한다. → Hangnyeoul 문 2. 밑줄 친 부분의 띄어쓰기가 바르지 않은 것은?① 집에서만이라도 제발 편히 쉬어라.② 요즘 세대간 갈등이 심화되었다.③ 이번 출장은 현지 시장 조사를 위해서입니다. ④ 열심히 공부를 했는데도 성적이 떨어졌다..

1.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이 접두사가 아닌 것은? ① 막그릇에 찬밥이지만 진수성찬이 따로 없네. ② 올해 심을 씨감자가 비를 맞고 다 썩어버렸어요. ③ 최근 일본산 참다랑어의 가격이 매우 하락하였다. ④ 처남이 우리 집으로 이사 오면서 군식구가 늘었어. ⑤ 피지도 못한 꽃들을 짓밟아버린 사람은 대체 누구인가. 정답: ② 해설: ① 막-: ‘거친, 품질이 낮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② '씨'는 어근이므로 ‘씨감자’는 합성어 ③ 참-: ‘진짜, 진실하고 올바른’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④ 군-: ‘가외로 더한, 덧붙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⑤ 짓-: ‘마구’, ‘함부로’, ’몹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2. 의 글에서 ( )안에 들어갈 단어의 순..

문 1. 밑줄 친 단어 중 표준어가 아닌 것은? ① 담벼락에는 개발새발 아무렇게나 낙서가 되어 있었다.② 어제 딴 쪽밤을 아이들이 몰래 까서 먹고 있다.③ 창을 통해서 뜨락을 바라보니 완연한 가을이었다.④ “상상의 나래를 펴는 중국어”는 듣기, 말하기 중심의 학습을 도와주는 교재이다. 정답: ② 해설: 쪽밤 (X) → 쌍동밤 (O) 제25항: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 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예) 쌍동밤: 한 껍데기 속에 알맹이 두 쪽이 들어 있는 밤 ②, ③, ④ - 복수표준어로 허용됨 (2011년 개정) 문 2. 다음 외래어 표기의 근거만을 바르게 제시한 것은? leadership ..

문 1. 밑줄 친 ‘마’의 뜻이 다른 하나는? ① 마이동풍 ② 주마간산 ③ 천고마비 ④ 절차탁마 정답: ④ 해설: ① 馬耳東風 (말 마, 귀 이, 동녘 동, 바람 풍): 동풍이 말의 귀를 스쳐간다. ② 走馬看山(다릴 주, 말 마, 볼 간, 뫼 산): 말을 타고 달리며 산천을 구경한다. ③ 天高馬肥(하늘 천, 높을 고, 말 마, 살찔 비):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 ④ 切磋琢磨(끊을 절, 갈 차, 쫄 탁, 갈 마): 옥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 문 2. 외래어 표기가 모두 맞는 것은? ① 리포트, 서비스, 워크숍, 콤플렉스 ② 색소폰, 쥬스, 텔레비전, 판타지 ③ 심포지엄, 로케트, 앙케트, 타월 ④..

1. 의 문장과 동일한 유형의 오류를 범하고 있는 문장은?용감한 그의 아버지는 적군을 향해 돌진하였다. ① 승호는 빵과 우유를 배부르게 마셨다.② 날씨가 더워 차가운 냉수를 먹고 싶었다.③ 예쁜 유진이의 여동생이 학교를 방문했다.④ 보세요, 우리가 만든 모형 비행기가 잘 날라가지 않습니까? 정답: ③ 해설: 중의적 문장 - '용감한'이 수식하는 주체가 모호함 ③ '예쁜'이 '유진이'를 수식하는지, '여동생'을 수식하는지 모호함 2. 괄호 안에 들어갈 한자 성어로 적절한 것은?겸사도 지나치면 폐단이 아닌가. 성품이 그토록 올곧은 자네가 중전에 기대어 ( )할 생념을 품을 것도 아닐 터, 내 간지(懇志)를 그토록 내치지 말게. ≪김주영, 객주≫ ① 狐假虎威② 杜門不出③ 吳越同舟④ ..

문 1. 다음 문장에서 띄어쓰기가 옳은 것은? ① 내가 빈손으로 고향을 떠나온지 어언 삼십 수년이 지났다.② 일을 잘하는데 요구되는 두어 가지 덕목을 말해보아요.③ 홍부장님과 홍길동씨는 둘 다 홍씨이고 얼굴이 닮았다.④ 너 이번이 두 번째인 것 같은데 다시 한번 이런 일이 있으면 가만 안 두겠다. 정답: ④ 해설: '번'- 차례나 일의 횟수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 번, 두 번, 세 번'과 같이 띄어 쓴다. '한번'을 '두 번', '세 번'으로 바꾸어 뜻이 통하면 '한 번'으로 띄어 쓰고 그렇지 않으면 '한번'으로 붙여 쓴다. ① 떠나온지 (X) → 떠나온 지 (O) (의존명사) ② 잘하는데 (X) → 잘하는 데 (O) (의존명사) ..

1. 외국어에서 차용된 어휘가 아닌 것은? ① 빵② 구두③ 붓④ 미르⑤ 고무 정답: ④ 해설: 미르 - '용(龍)'의 옛말, 고유어 2. 다음 중 표준 발음으로 옳은 것은? ① 다쳐[다쳐]② 많소[만쏘]③ 혜택[해:택]④ 없애다[업쌔다]⑤ 개폐[개폐] 정답: ⑤ 해설: '예, 례'를 제외한 'ㅖ'는 [ㅖ]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나, [ㅔ]도 허용한다. 따라서 '개폐'는 [개폐/개페] 모두 가능 ① 다쳐[다처] - [져, 쪄, 쳐]는 발음할 때 항상 단모음 [저, 쩌, 처]로만 발음한다. ② 많소[만:쏘] ③ 혜택[혜:택/헤:택] ④ 없애다[업:쌔다] 3. 다음의 밑줄 친 부분에 대한 표준 발음으로 옳은 것은? ① ..

문 1. 밑줄 친 부분이 한글 맞춤법에 맞는 것은? ① 약속을 번번히 어긴다.② 그는 의젓이 행동한다.③ 곰곰히 생각에 잠기었다.④ 딱이 갈 만한 곳도 없다. 정답: ② 해설: ① 번번히 → 번번이 ③ 곰곰히 → 곰곰이 ④ 딱이 → 딱히 문 2. 띄어쓰기가 옳은 것은? ① 집밖에∨나가서∨놀지∨않을래?② 길동이는∨잘난체∨하는∨것도∨밉지가∨않아.③ 음식은∨각자∨먹을만큼만∨접시에∨담아∨가세요.④ 자료를∨검토한바∨몇∨가지∨미비한∨사항이∨발견되었다. 정답: ④ 해설: ① '밖' (명사) → 집∨밖에 * 밖에: '그것 이외에는’의 뜻일 때는 이므로 체언과 붙여 쓴다. '너밖에 없다' ② 잘난체∨하는 → 잘난..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문1∼문4】 우리들이 필요에 의해서 물건을 갖게 되지만 때로는 그 물건 때문에 적잖이 마음이 쓰이게 된다. 그러니까 무엇인가를 갖는다는 것은 다른 한편 무엇인가에 얽매인다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가졌던 것이 도리어 우리를 부자유하게 얽어맨다고 할 때 ( ㉠ ) 우리는 가짐을 당하게 된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은 흔히 자랑거리로 되어 있지만, 그마만큼 많이 얽히어있다는 측면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이다. 지난 해 여름 장마가 개인 어느 날 봉선사(奉先寺)로 운허 노사(耘虛老師)를 뵈러 간 일이 있었다. 한낮이 되자 장마에 갇혔던 햇볕이 눈부시게 쏟아져내리고 앞 개울 물 소리에 어울려 숲속에서는 매미들이 있는 대로 목청을 돋구었다.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