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자료조직개론

2013 국회직 9급-자료조직개론 (가)책형 기출 문제 및 정답

수박참외멜론 2025. 5. 8. 12:50

 
 
 
 
 
1. 다음은 KDC 제5판으로 자료를 분류할 때 본표의 해당 번호와 조기표를 연결한 것이다. 올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① 한국어사전 : 03(0) + 국어구분표
② 한국의 경제사 : 320.9 + 지역구분표
③ 한국소설문학 : 81(0) + 문학형식구분표
④ 한국의 신문 : 07(0) + 지역구분표
⑤ 한국어문법 : 71(0) + 언어공통구분표
 
 
정답: ①
 
해설: 한국어사전의 경우 국어구분표가 아닌 언어공통구분표 -3을 쓴다.
 
 
 
2. 다음 각 목록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카드형목록은 새로운 목록의 추가와 불필요한 목록의 제거가 언제나 용이하여 사무상 능률적이고 편리하다.
② 책자형목록은 카드형목록보다 먼저 나온 것으로 여러 곳에서 많은 사람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③ 온라인열람목록은 새로운 목록의 추가나 목록기술의 정정이 즉시 가능하므로 전거통제의 필요성이 사실상 없어지는 효과를 갖 게 되었다.
④ 마이크로형태목록은 이전 목록보다 이용이 편리하지만 기계가독형 목록의 등장으로 크게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⑤ 가제식목록은 카드형목록과 책자형목록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지만 도서관 목록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지 않다.
 
 
정답: ③
 
해설: 온라인 목록에서는 자료의 추가·수정이 용이하지만, 전거통제는 여전히 매우 중요하다.
        전거통제는 저자명, 주제명, 서명 등의 표목을 일관되게 유지하여 검색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
 
 


3. 다음 중 KCR 제4판에 따라 형태사항을 기술할 때 옳지 않은 것 은?
 
① 마이크로필름 릴 6개 ; 35 ㎜
② 321 p. ; 23 ㎝
③ 음반 1매 (1시간15분) : 아날로그, 33 1/3회전, 스테레오 ; 30.5 ㎝
④ 궤도 1매 : 천연색 ; 24×48 ㎝
⑤ xxiii, 895 p. : 지도, 초상, 삽화 ; 26 ㎝
 
 
정답: ⑤
 
해설: ① 마이크로자료 - 마이크로필름 릴의 단위는 개, 필름의 폭을 밀리미터 단위로 기술한다.
         ② 단행본 - 자체면수는 321 p.로 표기하고, 단행본의 크기가 10cm 이상일 경우 cm, 미만일 경우 mm로 기술한다.
         ③ 녹음자료 - 1. 재생시간: 재생시간이 5분 이상인 경우에는 분까지, 이하인 경우에는 초까지 기술한다.
                              2. 기타형태사항: 녹음방식, 재생속도, 음구특성, 트랙의 수, 채널수, 녹음 및 재생 특성
                              3. 크기: 음반은 직경, 카트리지와 카세트는 세로X높이
         ④ 지도자료 - 낱장지도의 단위는 매, 크기는 세로X가로, 직경, 세로X가로X높이 등으로 기술한다.
         ⑤ 단행본 - 삽화가 수록된 경우 삽화를 먼저 기술한 후 자모순으로 기술한다.
                           지도, 초상, 삽화 (X) → 삽화, 지도, 초상 (O)
 
 
 
4. 더블린코어 요소 집합(Dublin Core Metadata Element Set: DCMES)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각 요소의 수록여부를 강제하지 않고 있다.
② 자원의 본질적인 특성을 기술요소로 하고 있다.
③ 모든 기술요소를 반복 사용할 수 있다.
④ 각 요소의 표현기법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⑤ 한정어를 사용하여 의미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정답: ④
 
해설: DCMES - 네트워크 자원을 식별하고 접근(15개의 요소), 저자생성 메타데이터
                         특성: 고유성, 확장성, 구문의 독립성, 선택성, 반복성, 조정가능성
                         표현 기법을 구체적으로 규정하지 않고, 유연성과 상호운용성을 위해 형식보다 의미 중심의 기술을 강조
 
 
 
5. A 도서관에서는 동양서는 KDC 제5판, 서양서는 DDC 제23판을 사용한다고 한다. 다음은 A 도서관의 장서통계표이다. “논리학”분야의 총 장서수는?

 
① 319권
② 326권
③ 332권
④ 341권
⑤ 410권
 
 
정답: ③
 
해설: KDC 제5판 - 170 논리학 =124권
         DDC 제23판 - 160 Philosophical logi(논리학) =208권
 
 
 
6. KCR 제4판과 KORMARC 통합서지용에 따라 서지레코드를 작성할 때 다음 <보기>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띄어쓰기는무시함)

                    <보 기>

 
① 가, 나, 다, 마, 바
② 가, 다, 마, 바
③ 나, 라, 바, 사
④ 가, 다, 마
⑤ 다, 마, 사
 
 
정답: ④
 
해설: 가. 245 표제와 책임표시사항 - a 본표제                 - b 표제관련정보

                                                      - d 첫번째 책임표시  - e 두번째이하 책임표시

                                                      - h 자료유형             - n 권차 또는 편차 

                                                      - p 권제 또는 편제    - x 대등표제

         나. 249 대등표제 필드가 아니며, KORMARC에는 존재하지 않는 필드

                      여러형태의 표제는 246 필드를 사용한다.

         다. 250 판사항 - a 판표시

                                 - b 해당 판의 저작자 표시 등

         라. 260 발행, 배포, 간사 사항 - $a서울 : $b구미무역, $c1990

                     출판사의 법적 형태는 생략하거나 간략히 기술하며, 괄호는 사용하지 않는다.

         마. 300 형태사항 - a 쪽수 ; c 크기

         바. 440 총서사항 - $a현대정보관리학총서 ; $v5

              * 현재 440필드는 KORMARC에서 폐지되었고, 490 필드와 830 필드에서 병행 기술한다.

         사. 500 일반주기 - $a참고문헌 : p. 450–452

                      콜론 앞에 공백을 둔다.    

            

 


7. KDC 제5판에서 이자택일과 관련된 주기를 적은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예 포함)
 
① 016 주제별 서지 및 목록
            001-999와 같이 주제 구분한다.
          【 예 : 정치서지 및 목록 016.34 】
            도서관에 따라 주제별 서지 및 목록을 주제하에 분류할 수 있다.
          【 예 : 법률서지 및 목록 360.26 】
② 078 특정주제의 신문
             001-999와 같이 주제 구분한다.
           【 예 : 교육신문 078.37 】
             도서관에 따라 주제하에 분류할 수 있다.
           【 예 : 교육신문 370.78 】
③ 989 지도 및 지도책

            도서관에 따라 지도는 989 대신 M을 분류기호 앞에 붙여서 사용할 수 있다.
           【 예 : 아시아지도 M981 】
④ 990 전기
            도서관에 따라 개인전기는 99, B 등으로 간략하게 분류할 수 있다.
⑤ 998 주제별 전기

            100-990과 같이 주제구분(강 이상)한다.
          【 예 : 고승전 998.22 】
            주제별 전기는 그 인물과 주제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그 주제하에 분류하는 것을 추천한다.
          【 예 : 고승전 220.99 】
 
 
정답: ②
 
해설: ① 016 주제별 서지 및 목록- 일반적으로 016 아래에 분류하지만,

                    도서관 방침에 따라 주제별 본표(예: 정치 360) 하위에 360.26 등으로 분류 가능

         ② 078 특정주제의 신문- 078은 "일반 신문"에 해당하고, 특정 주제의 신문은 해당 주제로 분류한다.

                     “교육신문”은 078.37이 아닌 370.78처럼 주제 쪽(370)의 하위로 분류해야 한다.

         ③ 989 지도 및 지도책- M981 아시아지도 식으로 ‘M’을 붙여 지리 분류와 구별하기도 한다.

         ④ 990 전기- 개인전기의 기본 분류번호는 990이며, 도서관에 따라 99, B 등으로 간략하게 분류할 수 있다.

         ⑤ 998 주제별 전기- 주제 전기는 998번대를 쓰되, 관련 주제로도 분류 가능

 


 
8. 다음 중 CIP(Cataloging-In-Publication) 부여 대상이 되는 자료는?
 
① 대학 출판물
② 석ㆍ박사 학위논문
③ 점자 출판물
④ 종교 교육 자료
⑤ 낱장 지도와 악보
 
 
정답: ①
 
해설: CIP(Cataloging-In-Publication) - 도서가 출판되기 전에 서지정보를 미리 작성해주는 제도
         국립중앙도서관에서 CIP를 발행하며, 국가서지와 서지통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CIP 부여 대상: 일반 상업 출판 단행본, 아동도서, 학습서, 종교 교육 자료, 대학 출판물

         ① 대학 출판물 - 상업 출판물로서 ISBN이 부여되고 유통 목적이 명확할 경우 CIP 부여 대상

         ② 석ㆍ박사 학위논문 - 학위 수여기관 제출용, 일반 유통 목적 없음
         ③ 점자 출판물 - 특수자료로 별도 관리됨
         ④ 종교 교육 자료 - 일반 종교서가 아닌 "특수 목적" 자료(내부용, 학습 교재 등)는 대상 아님
         ⑤ 낱장 지도와 악보 - 연속간행물 또는 비도서 형식으로 제외

 
 
 
9. 다음은 분류의 일반규정을 설명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원저작의 번역이나 비평, 해설, 주석, 연구 등은 모두 원저작과 함께 분류한다.
② 분류표에 없는 새로운 주제는 그 주제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주제를 찾아 그곳에 추가하거나 신설하여 전개한다.
③ 각색은 각색자의 작품으로 분류한다.
④ 다른 저자의 학설이나 연구 결과를 비판한 도서는 비판의 대상이 되는 저자에 분류하지 않고 비판한 학자에 분류한다.
⑤ 어떤 의도를 가지고 원저작의 일부를 발췌하여 단독으로 간행한 것은 원저작의 주제에 의해 분류한다.
 
 
정답: ⑤
 
해설: 원작 일부 발췌 →  발췌한 부분의 주제에 분류한다.

 
 
 
10. 다음 FRBR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 기>
가.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는 독창적인 지적 예술적창작물로서 FRBR의 제1집단 중 ‘저작’에 해당한다.
나. 영화로 제작된 『노인과 바다』 는 헤밍웨이의 원작을 영화로 실현한 것으로서 FRBR의 제1집단 중 ‘표현형’에 해당한다.
다. 한글로 번역된 『노인과 바다』 는 저작을 물리적으로 구현한 것으로서 FRBR의 제1집단 중 ‘구현형’에 해당한다.
라. 도서관에 DVD로 소장되어 있는 영화 『노인과 바다』 는FRBR의 제1집단 중 ‘개별자료’에 해당한다.

 
① 가, 라
② 나, 다
③ 다, 라
④ 가, 나, 라
⑤ 가, 나, 다, 라
 
 
정답: ①
 
해설: FRBR 제1집단

저작 (Work) 독창적인 지적 또는 예술적 창작 아이디어 자체
표현형 (Expression) 저작을 구체적인 형태(언어, 스타일 등)로 표현한 것 언어/형식
구현형 (Manifestation) 표현형이 물리적으로 구현된 출판 형태 판, 출판사, 연도 등
개별자료 (Item) 특정 구현형의 개별 실물 내가 들고 있는 물건


 
 
 
11. 다음 RDA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AACR2R에 비해 기술요소가 대폭 늘어났다.
② RDA는 FRBR과 FRAD에서 제시하고 있는 속성과 관계로 구분하여 각 개체 간의 특성을 정의하고 있다.
③ AACR2R에서는 자료의 식별을 위한 기술부와 자료의 검색을 위한 표목부를 별도로 규정하였지만, RDA에서는 이를 구분하고 있지 않다.
④ 통일표목(uniform heading) 대신에 전거형 접근점(authorized access point)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⑤ 동일 표제의 상이한 형식은 연결수단을 통해 상호연결할 수 있으므로 통일표제(uniform title)에 관한 기존의 규정을 완전히 삭제하였다.
 
 
정답: ⑤
 
해설: RDA는 통일표제를 없애지 않았다. 다만, "통일표제"라는 용어 대신 "전거형 접근점"이나 "선호 제목(preferred title)" 등의 개념으로 바꾸고 표현 방식만 바뀌었을 뿐, 그 기능(식별과 연결)은 여전히 유지된다.
 
 
 
12. 다음 KORMARC의 연관저록 필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연관저록 필드는 해당 저작과 연관된 저작의 서지사항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기술하며 76X-78X 필드를 사용한다.
② 760 필드는 해당자료가 하위총서일 때, 상위총서 저록에 관한 정보를 기술한다.
③ 765 필드는 해당자료가 원저로서 다른 언어의 번역본이 있는 경우, 그 서지사항을 기술한다.
④ 776 필드는 해당 자료가 이용 가능한 다른 물리적 형태의 자료로 간행되어 있을 때, 그에 관한 사항을 기술한다.
⑤ 780 필드는 해당 자료의 직접적인 선행저록이 있는 경우, 그 서지사항을 기술한다.
 
 
정답: ③
 
해설: 연관저록(76X-78X) - 계층관계: 760 상위총서저록 ↔ 762 하위총서저록

                                                         770 보유판 및 특별호 저록 ↔ 772 모체레코드저록

                                                         773 기본자료저록 ↔ 774 구성단위저록

                                       - 선후관계: 777 동시발간저록

                                                         780 선행저록 ↔ 785 후속저록

                                       - 파생관계: 765 원저저록 ↔ 767 번역저록

                                                         775 이판저록

                                                         776 기타형태저록

                                       - 기타: 786 데이터의 정보원 저록

                                                  787 비특정적 관계 저록
 
 


13. 다음 <보기>의 KDC 제5판의 일부를 참고하여 『이집트와 이라크 간의 통상조약』을 올바르게 분류한 것은?

 
① 326.29931109184
② 326.293110184
③ 326.231101184
④ 326.29310184
⑤ 326.2931084
 
 
정답: ②
 
해설: 형식 - 326.29 + 첫 번째 국가의 지역구분기호 + 0 + 두 번째 국가의 지역구분기호
                ⇒ 326.29 + 9311 + 0 + 9184
 

 

 
14. 다음 DDC 제22판의 일부 내용 중 ( a ), ( b )에 들어 갈 번호를 각각 맞게 적은 것은?

 
① a. 808.8          b. 3           c. 3A
② a. 808.8          b. 3           c. 3B
③ a. 808.83        b. 30         c. 3A
④ a. 808.83        b. 30         c. 3B
⑤ a. 808.83        b. 31         c. 3B
 
 
정답: ④
 
해설: 808.8 여러 문학에서의 문학 작품 모음집

               .83 소설 모음집 (Collection of fiction)

               .831-838 특정한 범위나 유형의 소설 모음집

 

         (a): 기본 번호 → 808.83 소설 모음집

         (b): 301–308은 Table 3B에서 시작하는 부분 번호

         (c): 출처 테이블 번호 → 3B (시, 희곡, 소설 등 문학 장르에 적용되는 특정 주제 유형)


 
  
15. 다음 KCR 제4판에 따라 고서의 발행년을 기술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高麗高宗 1[1214] : 고려고종 1년에 발행된 도서
② 朝鮮高宗 2[1865] : 조선고종 2년에 발행된 도서
③ [明宗 4(1549)] : 발행년은 없으나 명종 4년이 확실하다고 판단한 경우
④ [正祖 2(1778)頃] : 대강 짐작되는 발행년도일 때
⑤ [英祖年間(1725-1776)] : 발행시기를 영조시대로 보았을 때
 
 
정답: ②
 
해설: 고서와 고문서의 발행년, 배포년: 묘호명이 조선조와 고려조가 동일한 경우,

                                                         고려조의 묘호명 앞에 역조高麗를 앞세워 기술

        ② 高宗 2[1865] : 조선고종 2년에 발행된 도서
 
 
 
16. DDC 제23판에 명시된 분류규정에 따라 분류기호를 부여할 때 옳은 것은?
 
① 「타고르가 한국시에 미친 영향」은 한국시(895.71)에 분류한다.
② 「시공 디스커버리 총서」 중 일부분만 소장한 경우 총류의 일반전집(080) 아래에 분류한다.
③ 특정 국가 또는 주제에 한정되지 않은 인명사전은 사전(030)에 분류한다.
④ 비문학적 전집은 총류의 일반전집(080)에 분류하고, 문학적 전집은 문학전집(808.8) 아래에 분류한다.
⑤ 어학 학습용으로 간행된 「O'Henry's Short Stories」 는 이용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원작과 함께 미국소설(813)로 분류한다.
 
 
정답: ④
 
해설: ① 문학에 대한 연구(비평, 해석, 영향 등)는 해당 문학의 비평 번호로 분류한다.

             한국 시 자체를 분류할 때는 895.71 (한국 시)이지만,

             한국 시에 대한 연구나 비평은 895.709 한국 시 - 역사와 비평(Criticism and history)으로 분류한다.

        ② 전체 전집이 여러 주제를 다루는 백과사전식 시리즈라면 080(일반 전집)에 분류할 수 있지만,

            전집 중 일부분만 소장하고, 그 부분이 특정 주제를 다룬다면 그 개별 주제에 따라 분류한다.

        ③ 일반적인 인명사전은 920(전기)에 분류한다. 030은 General encyclopedic works(일반 백과사전) 분류기호이다.

        ④ 080: General collections (일반 전집) - 주제가 다양하거나 특별한 주제에 얽매이지 않는 전집

             808.8: Rhetoric & collections of literature (수사학 & 문학 전집) - 다양한 작가의 문학 작품을 모은 전집
        ⑤ 어학 학습용 자료는 그 목적에 따라 400(어학)에 분류한다.

 

 

 
17. 커터-센본 세 자리 수 저자기호표(Cutter-Sanborn Three-FigureAuthor Table)에서 두 자리 수(11-99)로 전개되어 있는 알파벳은?
 
① A
② D
③ K
④ V
⑤ W
 
 
정답: ③
 
해설: J, K, Y, Z, E, I, U, O는 두 자리

        Q, X는 한 자리

        이외는 모두 세 자리
 
 
 
18. Bliss의 서지분류법(BC)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 기>
가. BC의 주류체계는 콩트의 학문분류를 반영한 것이다.
나. 현대분류표의 총류에 해당하는 선행류를 두었다.
다. BC1은 영국에서, BC2는 미국에서 출판되었다.
라. 주류에 알파벳 대문자, 형식구분에 숫자, 장소구분에 알파벳 소문자를 사용한 혼합기호법을 채택하였다.
마. 기존의 하향식 분류체계에 상향식 분류체계의 원리를 도입함으로써 자료분류의 이론을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① 가, 나, 다, 라, 마
② 가, 나, 라, 마
③ 가, 나, 다, 라
④ 가, 나, 라
⑤ 나, 라, 마
 
 
정답: ②
 
해설: Bliss의 서지분류법(BC)

        가. 콩트(Comte)의 과학에서 철학으로 흐르는 학문 체계를 반영하여 분류 구성

        나. 현대의 총류(000번대)에 해당하는 선행류를 두었다.(2-9까지의 숫자 사용)

        다. BC1(초판)은 미국에서 출판, BC2(2판)은 영국에서 출판되었다.

        라. 혼합기호법(주류: 알파벳 대문자, 형식구분:숫자, 지역구분:알파벳 소문자)을 채택하고, 3자리마다 띄어서 표기

        마. 상향식 개념분류의 원리 도입 → 이론적, 실제적

        그 외에도 복수주제 또는 복합주제를 모두 기호화할 수 있도록 5개의 공통패싯을 이용한 분석합성식 원리 수용

 

         
 
 
19. 다음 Sears List of Subject Headings의 일부 내용 중 주표목으로 사용할 수 없는 용어는?

 
① Birds
② Zoology
③ Ornithology
④ Vertebrates
⑤ Amphibians
 
 
정답: ③
 
해설: 주표목으로 사용할 수 없는 용어는 보통 "see" 지시어로 다른 표목으로 안내되는 비표목이다.

         Birds (598.2) → 주표목 (May subdiv. geog. = 지명 세분 가능)

                   x Bird, Ornithology → "Bird", "Ornithology"는 Birds로 들어가라는 뜻 (주표목 아님)

                   xx Zoology → Birds는 Zoology의 하위 개념임 (상위 개념 표시)

        Ornithology → see Birds → 주표목이 아님, Birds가 주표목

        Vertebrates (596) → 주표목

                  see also Amphibians → 관련 참조 (둘 다 주표목일 수 있음)


 
 
20. 동양의 자료분류사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 기>
가. 중국 최초의 사분법 체계는 中經簿이나 소실되어 그 내용을 알 수 없고,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 중국 최고의 사분법 체계는 中經新簿를 통해 알 수 있다.
나. 四庫全書總目의 분류체계에 따를 경우 載記類, 政書類, 類書 類, 譜錄類는 史部에 속한다.
다. 奎章總目의 기술 및 분류체계는 재래 동양의 전통적인 기입 방법인 서명기본기입방식을 택하고 있다.
라. 海東文獻總錄의 목록체제는 서명을 먼저 기입하고, 다음 행에 편찬자의 약전, 해제 및 서발문을 인용하여 초록하는 형식으로 기술하고 있다.
마. 七略은 주제에 따라 분류하였는데 시대의 선후에 따라 배열 하고, 사상의 유파나 체제에 따라 세분하였다.

 
① 가, 나, 마
② 가, 나, 다, 라
③ 나, 다, 라, 마
④ 가, 다, 라, 마
⑤ 가, 나, 다, 라, 마
 
 
정답: ④
 
해설: 가. 중국 최초의 사분법 체계는 中經簿(중경부)이나 소실되어 그 내용을 알 수 없고,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 중국 최고의 사분법 체계는 中經新簿(중경신부)를 통해 알 수 있다. → O

         나. 四庫全書總目(사고전서총목)의 분류체계에 따를 경우

              載記類(재기류), 政書類(정서류), 類書類(유서류), 譜錄類(보록류)는 史部(사부)에 속한다. → X

              * 사고전서총목: 사분법의 완성, 중국 최대 관찬 목록, 중국 목록학의 집대성

                                      경부(10류) - 2글자, 經

                                                       - 춘추(春秋)류, 사서(四書)류, 소학(小學)류
                                      사부(15류) - 史, 年, 今, 時, 900(전기, 지리)
                                                       - 기사본말(紀事本未)류, 재기(載記)류, 직관(職官)류, 정서(政書)류, 목록(目錄)류
                                      자부(14류) - 家, 算, 術
                                                       - 보록(譜錄)류, 유서(類書)류

                                      집부(5류) - 集, 詩

                                                     - 초사(楚辭)류, 사곡(詞曲)류

         다. 奎章總目(규장총목)의 기술 및 분류체계는 재래 동양의 전통적인 기입 방법인 서명기본기입방식을 택하고 있다. → O
         라. 海東文獻總錄(해동문헌총록)의 목록체제는 서명을 먼저 기입하고, 다음 행에 편찬자의 약전, 해제 및 서발문을 인용하여 초록하는 형식으로 기술하고 있다. → O
         마. 七略(칠략)은 주제에 따라 분류하였는데 시대의 선후에 따라 배열하고, 사상의 유파나 체제에 따라 세분하였다. →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