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1. 분류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중국도서관분류법은 UDC의 분석합성식 원리와 DDC의 조기성을 도입하였고,
혼합기호법을 채택한 비십진식 분류표이다.
② 브라운(J.D.Brown)의 주제분류법(SC)은 자연과학보다 사회과학을 상위에 배정하였으며
LCC 및 NDC의 주류체계 구성에 영향을 미쳤다.
③ 브리스(H.E.Bliss)의 서지분류법(BC)은 분석합성식 원리를 수용하였으며 콜론분류법(CC)의 탄생에 영향을 미쳤다.
④ 조선십진분류법(KDCP)은 한국인이 만든 최초의 십진분류법이며, 주류의 분류기호를 네 자리 숫자로 표기하였다.
정답: ②
해설: 주제분류법(SC)-인간의 지식을 4개로 대별
자연과학 분야를 상위 배열(BC, CC, SC)
주요한 주제를 같은 곳에 배열
자연과학과 응용분야의 접근: 자연-응용-사회-인문
문 2. KORMARC(통합서지용) 형식은 해당 자료와 관련 자료 사이의 각각 다른 서지적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여러 형태의 연관저록필드를 갖고 있다. 연관저록필드의 형태 중 다른 언어, 형식, 매체 등과 같이
한 서지자료에서 상이한 판(version)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필드로 옳지 않은 것은?
① 765필드
② 767 필드
③ 772 필드
④ 775 필드
정답: ③
해설: 관계유형 구분-계층관계- 760 상위총서저록 ↔ 762 하위총서저록
- 770 보유판 및 특별호 저록 ↔ 772 모체레코드저록
- 773 기본자료저록 ↔ 구성단위저록
-선후관계- 777 동시발간저록
- 780 선행저록 ↔ 785 후속저록
-파생관계- 765 원저저록 ↔ 767 번역저록
- 775 이판저록
- 776 기타형태저록
문 3. 틸렛(B. B. Tillett)의 서지적 관계유형에 대한 예시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술관계-『구약성경』의 주석서
② 파생관계-『Hamlet』의 한국어 번역서
③ 계층관계-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 영인본
④ 전후관계-연속간행물 『도서관학』이 『한국문헌정보학회지』로 표제 변경
정답: ③
해설: 틸렛의 7가지 서지적 관계 유형-대등관계: 내용상 동일한 개체 (복본, 영인본, 재쇄본, 사진복제 등)
-파생관계: 내용이나 표현방식을 변형 (번역서, 개정판, 증보판, 축약판 등
요약, 초록, 개요, 개작, 수정, 극화, 소설화 등)
-기술관계: 특정한 서지적 개체에 대한 기술, 평론, 서평, 해설집, 사례집, 주석서 등
-계층관계, 전체-부분 관계: 서지 수준을 달리한 저작 간의 관계
(선집, 합집, 총서, 논문집 등)
-딸림자료관계: 특정한 서지 개체와 이에 딸려서 간행된 개체와의 관계
(부록, 속편, 추록, 교사지침서, 지도, 초상화, 색인집, 용어집 등)
-선후관계, 연대관계: 연대적으로 다른 개체의 후속개체이거나 선행개체인 경우
-(특성)공유관계: 저자, 표제, 주제가 동일하거나 언어, 발행년, 발행국이 동일한 개체
문 4. KORMARC(통합서지용)과 MARC 21 형식의 필드 사용에 대한 비교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번역도서의 경우 원표제의 기술을 위해 MARC 21에서는 240 필드를 사용하고, KORMARC에서는 246 필드를 사용한다.
② 245 필드의 책임표시사항의 기술을 위해 MARC 21에서는 $c를 사용하고, KORMARC에서는 ▾d와 ▾e를 사용한다.
③ 245 필드 제2지시기호의 경우 KORMARC에서는 관제 및 관사의 출력형태를 제어하고 MARC 21에서는 배열에서 무시되는 문자수를 기재한다.
④ 총서사항과 총서표제의 부출표목이 같은 경우 총서사항의 기술을 위해 MARC 21에서는 440 필드를 사용하고 KORMARC에서는 490 필드를 사용한다.
정답: ④
해설: 245 표제와 책임표제사항- 지시기호: 00 - 관제가 없을 경우 사용
10 - 1xx가 있을 때 사용, KCR4 사용 안함
20 - 관제가 있을 경우 사용
- MARC21: a 본표제 / b 기타표제 / c 책임표시
- KOMARC: a 본표제 / b 표제관련정보
d 첫번째 책임표시 / e 두번째이하 책임표시
440 총서사항- 2014년 개정사항: 더 이상 사용하지 않으나 삭제하지 않는다.
- 총서서항과 총서표제의 부출표목이 같은 경우 사용
- 830 필드는 440 필드와 중복되기 때문에 사용 X
490 총서사항- 490 필드는 총서사항을 기술하지만 총서부출표목의 역할 X
문 5. DDC 제23판과 KDC 제5판의 특징을 비교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DDC는 경영학을 기술과학의 강목에 배정하고 있으나 KDC는 사회과학분야에 배정하고 있다.
② DDC와 KDC 모두 컴퓨터과학을 총류(000)에 배정하고 있다.
③ DDC와 KDC는 모두 종교공통구분표를 설정하여 각 종교에 공통적으로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④ DDC는 어학과 문학의 주류 배열이 유리되어 있으나 KDC는 인접되어 있다.
정답: ③
해설: 종교공통구분표는 KDC에만 있다.
경영학 / 어 학 / 문 학
DDC- 650 / 400 / 800
KDC- 325 / 700 / 800
문 6. DDC 제23판 분류에서 사용하는 개념과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적용규칙(rule of application)은 어떤 주제의 여러 특성을 기호의 합성을 통해서 충분히 나타낼 수 없을 경우,
그와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기호 가운데 어느 기호를 선택해야 할지를 분류자가 자관의 환경에 맞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② 삼자규칙(rule of three)은 동일한 상위 주제의 세목에 해당하는 셋 이상의 주제를 다루고 있는 문헌은
어느 한 주제를 다른 주제들보다 더욱 완전하게 다루지 않는 한, 이 주제들을 모두 포함하는 첫 번째 상위
기호에 분류하도록 하는 것이다.
③ 선행규칙(first-of-two rule)은 어떤 문헌에서 두 주제를 동등하게 다루고 있고, 서로에 대한 소개나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문헌을 그 분류 기호가 DDC에서 첫번째로 나타나는 주제에 분류하도록 하는 것이다.
④ 열거순서(citation order)는 분류 기호를 합성할 때 어떤 주제나 유(類)에 나타나는 여러 패싯이나 특성들을 어떤 순서로
결합할 것인가를 결정해 주는 것이다.
정답: ①
해설: 적용규칙- 자료에서 취급된 복수의 주제나 요소가 상호 관련성이 있을 경우, 직접적으로 적용될 주제에 분류
영향관계는 영향을 받은 쪽, 인과관계는 결과, 추상적인 주제보다 구체적인 주제에 분류
다른 규칙들보다 우선 적용
문 7. 중국의 사부분류법(四部分類法)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유교의 특징적인 분류법으로, 『수서경적지』에서 그 토대가 확립되었다. ㄴ. 『사고전서총목』의 분류체계에 따르면, 춘추류와 재기류는 사부(史部)에 속한다. ㄷ. 집부(集部)는 오늘날의 문학류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ㄹ. 오늘날 중국의 표준분류법이라고 할 수 있는 『중국 도서관분류법』의 주류체계와 유사하다. |
① ㄱ, ㄷ ② ㄴ, ㄹ ③ ㄴ, ㄷ, ㄹ ④ ㄱ, ㄴ, ㄷ, ㄹ
정답: ①
해설: 중국 사분법-중경부
-중경신부
-진원제서목
-수서경적지: 사분법 확립, 경부·사부·자부·집부 명칭 사용
-사고전서총목: 사분법 완성, 경부(춘추류, 사서류, 소학류)·사부(기사본말류, 재기류, 직관류, 정서류, 목록류)·
자부(보록류, 유서류)·집부(초사류, 사곡류)
중국도서관분류법-UDC의 분석합성식 요소와 DDC의 조기성을 도잊한 전개식 분류법
문 8. 해당 주제와 KDC 제5판에 따른 분류기호의 연결이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불경-223 ㄴ. 한국희곡-812 ㄷ. 영어의 어원-442 |
① ㄱ ② ㄱ, ㄴ ③ ㄴ, ㄷ ④ ㄱ, ㄴ, ㄷ
정답: ②
해설: 영어의 어원-7(언어)+4(영어)+2(어원)
* DDC=4(언어)+4(프랑스어)+2(어원)
문 9. KORMARC(통합서지용) 형식의 서지레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변길이제어필드의 경우 지시기호는 사용하지만 식별기호는 사용하지 않는다.
② 마이크로자료는 원본이나 복제본에 상관없이 별도 종류의 레코드로 구분하지 않는다.
③ 원자료가 있는 전자자료는 원자료의 유형에 따라 레코드의 종류를 구분한다.
④ 서지레코드의 종류는 리더 / 06의 구분기호로 표시한다.
정답: ①
해설: 가변길이제어필드는 지시기호, 식별기호 모두 사용
제어필드-자료형태: 도서(BK), 계속자료(CR), 전자자료(ER), 지도자료(MP), 음악/녹음자료(MU),
시청각자료(VM), 고서(RB), 복합자료(MX)
문 10. 다음 자료를 바탕으로 KCR 제4판과 KORMARC(통합서지용) 형식을 적용하여 목록레코드를 작성할 때
필드의 기술이 옳지 않은 것은? (단, 지시기호, 띄어쓰기, 필드 종단기호는 적용하지 않는다)
① 056 ▾a376.5467▾25
② 245 ▾a대중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안 =
▾x(The) program development plan for the revitalization
of popular culture and art by focusing on music education
in middle schools :▾b중학교에서의 음악교육을 중심으로 /▾d한도협
③ 300 ▾avi, 93 p. :▾b사진, 악보 ;▾c26 cm
④ 502 ▾a학위논문 -▾b한국대학교 교육대학원,▾c음악교육전공,▾d2013
정답: ④
해설: 학위논문주기- 502 ▾a학위논문(석사) -▾b한국대학교 교육대학원,▾c음악교육전공,▾d2013
KDC- 056 ▾a
표제와 책임표시사항- 245 ▾a본표제 =▾x대등표제 :▾b표제관련정보 /▾d첫번째 책임표시
형태사항- 300 ▾a :▾b ;▾c
문 11. 다음은 ISBN의 예시이다. 이 가운데 부가기호 다섯 자리수 ‘93020’의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ISBN 978-89-89023-89-0 93020 |
① 9(발행형태기호) - 3(독자대상기호) - 020(내용분류기호)
② 9(독자대상기호) - 3(발행형태기호) - 020(내용분류기호)
③ 9(독자대상기호) - 3(발행형태기호) - 02(내용분류기호) - 0(예비기호)
④ 9(발행형태기호) - 3(독자대상기호) - 02(내용분류기호) - 0(예비기호)
정답: ②
해설:
문 12. KDC 제5판의 사회과학류(300)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회학의 노동문제(336)를 노동경제학(321.5)으로 이치하여 재전개하였다.
② 한국의 중앙행정조직(350.2) 아래 특정 행정부처명에 따라 항목을 전개하였던 것을 기능 중심으로 재구성하였다.
③ 거의 동일하게 전개하였던 사회사상(301)과 정치사상(340.2)의 각론을 사회사상으로 통합하였다.
④ 법학의 경우 공법과 사법 이외에 사회법(368.1)을 신설하였다.
정답: ③
해설:
문 13. KDC 제5판의 표준구분표는 서술형식과 편집 및 출판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서술형식의 기호가 아닌 것은?
① -01
② -03
③ -07
④ -09
정답: ②
해설: 표준구분표에 제시된 형식- 물리적 형식사전, 연속간행물, 서지 등
- 접근법, 표현형식: 이론이나 연구
-01 철학 및 이론
-02 잡저
-03 사전, 인용어사전, 약어집
-04 강연집, 수필집, 연설문집 (연속적으로 간행되는 논문집은 -05)
-05 연속간행물
-06 학회, 단체, 협회, 기관, 회의
-07 지도법, 연구법 및 교육, 교육자료
-08 총서, 전집, 선집
-09 역사 및 지역구분
문 14. 다음은 KDC 제5판의 본표, 표준구분표 및 지역구분표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베트남의 서예』를 분류할 때, 옳은 것은?
① 640.141
② 649.141
③ 640.9141
④ 640.09141
정답: ③
해설: 640+09141
문 15. 전거제어와 주제명표목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ᄀ. 전거제어는 목록에서 접근점으로 사용하는 인명, 단체명, 회의명, 통일표제, 주제명, 지명 등에 대해 하나의 특정 형식을 일관되게 사용함으로써 관련 개체를 목록상에 집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ᄂ.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표(LCSH)의 주표목은 주제 표목과 형식표목이며, 각종 고유명사를 대상으로 한 고유명표목은 포함하지 않는다. ᄃ. KORMARC 전거레코드에서 단체명으로 채택한 접근점은 110 필드에, 비채택 접근점은 410 필드에 기술한다. ᄅ.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는 다양한 정보검색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시소러스 형식을 갖추고 있다. |
① ㄱ
② ㄴ, ㄹ
③ ㄱ, ㄷ, ㄹ
④ ㄱ, ㄴ, ㄷ, ㄹ
정답: ③
해설: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표(LCSH)의 주표목은 주제 표목과 형식표목이며,
각종 고유명사를 대상으로 한 고유명표목은 포함한다.
문 16. IFLA의 FRBR에서 제시한 4개의 이용자 과업(user tasks)에 해당하는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To select ㄴ. To identify ㄷ. To find ㄹ. To organize |
① ㄱ, ㄷ
② ㄴ,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ㄴ, ㄷ, ㄹ
정답: ③
해설: FRBR 기능- 발견(find): 이용자가 제시한 탐색기준에 일치하는 자원을 발견하는 일
- 식별(identify): 기술된 자료가 발견한 자료와 일치하는지 확인, 자원 간을 구별하는 일
- 선정(select): 이용자의 요구에 일치하는 적합한 자원을 선택하는 일
- 확보(obtain): 기술된 자원을 입수하고 접근하는 일
문17. KCR 제4판의 규정을 적용할 때 옳은 것은?
① 본표제가 길 경우에는 의미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표제를 축약할 수 있으며, 이 때 생략된 부분은 석점줄임표로
표시한다.
② 본표제나 표제관련정보에 포함된 저작자명은 책임표시에서 그 기재를 생략할 수 있다.
③ 표제관련정보의 기재순서는 으뜸정보원에 기재된 순서나 활자의 크기에 따라 기재하되, 책임표시의 성격을 띤 표제를 맨 앞에 기재한다.
④ 표제와 책임표시사항에 권차, 회차, 연차를 기술할 경우 회차와 연차가 모두 기재되어 있는 자료는 회차 다음에 연차를 원괄호(( ))로 묶어 기재한다.
정답: ④
해설: ①, ② 본표제는 축약 불가
③ 표제관련정보- 기재 순서: 표제관련 사항들의 맨 뒤
책임표시의 성격을 띤 표제를 맨 나중에 기재
- 너무 긴 표제관련정보는 주기사항에 옮겨 적거나, 적당히 줄여 적을 수 있다.
문 18. KCR 제4판의 기술규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녹음자료의 채널수는 ‘모노’, ‘mono.’ 또는 ‘스테레오’, ‘stereo.’ 또는 ‘4채널’, ‘quad.’로 구분하여 기술한다.
② 지도자료의 도법표시는 기술대상자료나 용기, 딸림자료에 도법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만 기술한다.
③ 총서와 관련된 책임표시는 원칙적으로 기재하지 않는다.
④ 연속간행물의 본표제가 일부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된 표제 아래 독립된 저록을 작성하지 않는다.
정답: ④
해설: 연속간행물- 표제와 책임표시사항: 본표제가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된 표제 아래 독립된 저록을 작성한다.
문 19. 『The Birth and Death of the Sun』의 저자는 Louis Robbins이다.
아래 제시된 『Cutter-Sanborn Three-Figure Author Table』에 따라 저자기호를 부여한 것으로 옳은 것은?
① L888t
② R634b
③ L887t
④ R635b
정답: ②
해설: Cutter-Sanborn 세 자리 저자기호법- 저자의 성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기재
번호가 없을 경우 바로 앞의 번호 채택
문 20. 다음은 DDC 제23판의 본표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각 문항의 자료를 분류할 때, 옳은 것은?
① 『History of International Migrations』 - 325.09
② 『European Migrations in the 20th Century』 - 325.094
③ 『Population Transfers in Germany』 - 325.0943
④ 『Korean Emigrations to the United States』-325.235190973
정답: ①
해설: -09 역사, 지리, 인물
④ 325+519(한국)+09+73(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