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정보봉사개론

2013 국회직 9급-정보학개론 (가)책형 기출 문제 및 정답

 

 

 

 

 

1. MODS에는 존재하나 Dublin Core의 핵심요소에는 존재하지 않는 메타데이터 요소는?

 

① 발행사항

② 자료유형

③ 주제범위

④ 이용제한

⑤ 소장위치

 

 

정답: ⑤

 

해설: ① 발행사항 → Publisher, Date 등을 통해 표현 가능

        ② 자료유형 → Type에 해당

        ③ 주제범위 → Subject, Coverage에 해당

        ④ 이용제한 → Rights에 해당

        ⑤ 소장위치 → Dublin Core에는 존재하지 않음, MODS에는 <location> 요소로 존재

 

 

 

 

2. <보기>는 디지털도서관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위한 기능요구 수준에 대한 설명이다. 설명과 개념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보 기>
가. 각 디지털 도서관은 프로토콜 수준에서 협력하지 않고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정보를 수집한다.
나. 다소 느슨한 연합형태, 각 디지털도서관은 기본적인 메타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상호연동이 가능하다.
다. AACR2, Z39.50 등과 같이 엄격한 표준 프로토콜을 상호 간에 준수하여 달성한다.

 

① 가 – 연합(federation)

② 나 – 수집(gathering)

③ 나 – 수확(harvesting)

④ 다 – 수집(gathering)

⑤ 다 – 수확(harvesting)

 

 

정답: ③

 

해설: 가-수집

         나-수확

         다-연합

 

 

 

3. 불리언 탐색으로 다음과 같은 검색결과를 얻었다면, 탐색식 “(컴퓨터 OR 웹) AND 탐색엔진”를 탐색했을 때 예상되는 검색된 문 헌의 수는?

 

① 60 건

② 70 건

③ 80 건

④ 90 건

⑤ 100 건

 

 

정답: ①

 

해설: (컴퓨터 OR 웹) AND 탐색엔진 = (컴퓨터 AND 탐색엔진) OR (웹 AND 탐색엔진)

         이 두 집합을 합집합으로 본다면, 중복된 문헌 (웹 AND 컴퓨터 AND 탐색엔진)은 한 번만 포함되어야 하므로,

         (컴퓨터 AND 탐색엔진) + (AND 탐색엔진) (AND 컴퓨터 AND 탐색엔진) = 60건

 

 

 

4.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복합문화기관의 유형으로 2008년 Megan Winget이 제시한 개념은?

 

① 정보광장

② 미디어테크

③ 라이브러리파크

④ 라키비움

⑤ 스마트도서관

 

 

정답: ④

 

해설: ① 정보광장: 개방형 정보 공유 공간을 의미할 수 있지만 특정 개념은 아님

        ② 미디어테크: 시청각 자료 중심의 멀티미디어 정보센터

        ③ 라이브러리파크: 도서관을 공원처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확장한 개념

        ④ 라키비움: 도서관(Library), 기록관(Archive), 박물관(Museum)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통합형 수집 기관

                            세 가지 기관의 장점을 융합하여 지식과 문화유산을 종합적으로 수집, 보존, 제공

        ⑤ 스마트도서관: IT 기술을 접목한 자동화, 무인화 도서관

 

 

 

5. 색인의 특정성과 망라성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일반적으로 시소러스의 디스크립터는 분류표의 분류번호보다 특정성이 높다.

② 특정성이 높으면 정확률을, 망라성이 높으면 재현율을 향상시킨다.

③ 디스크립터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은 정확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④ 시소러스에서의 특정성은 디스크립터 당 평균 단어수로 측정한다.

⑤ 자연어 색인에서 색인대상을 서명에서 전문으로 확대하면 망라성이 확대된다.

 

 

정답: ①

 

해설: 분류표(예: DDC, UDC)는 매우 세부적인 주제까지 숫자 체계로 세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세부 분류번호는 시소러스 디스크립터보다 더 특정성 높은 경우가 많다.

         반면, 시소러스는 개념 간의 관계(상위/하위/관련)를 제공하지만, 모든 용어가 고도로 구체적인 것은 아니므로

         과도한 일반화는 적합하지 않다.

 

 

 

6. <보기>에 해당하는 법칙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보 기>
가. 비교적 소수의 저자들이 많은 저서를 냄으로써 전체 저서의 상당 부분을 그들의 저서가 차지한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나. 단어사용빈도에 따라 단어를 배열하면 단어별 순위와 빈도의 곱은 일정하다.

 

① 가 : 저자생산성법칙 / 나 : 최소노력의 법칙

② 가 : 저자생산성법칙 / 나 : 지수곡선증가법칙

③ 가 : 최소노력의 법칙 / 나 : 분산법칙

④ 가 : 분산법칙 / 나 : 저자생산성법칙

⑤ 가 : 지수곡선증가법칙 / 나 : 최소노력의 법칙

 

 

정답: ①

 

해설: 가. 저자생산성법칙 (Lotka's Law)-소수의 저자가 다수의 논문을 생산하고, 대다수 저자는 소수만을 생산하는 현상

              논문을 1편 쓴 저자가 가장 많고, 2편 이상 쓴 저자는 급격히 감소

              대체로 저자 수 ∝ 1 / (논문 수)²

 

         나. 최소노력의 법칙 (Zipf's Law)-사람들이 최소의 인지적 노력으로 언어를 사용할 때, 단어의 사용 빈도와 순위 간 곱이 일정하다고 설명 (순위가 높은 단어일수록 빈도가 급격히 높아지는 현상)

 

         지수곡선증가법칙 (Exponential Growth Law)-정보(지식), 과학 논문, 출판물, 데이터 등이 일정 주기로 두 배씩 증가하는 경향

         예) 1950년대 이후 학술 논문의 수가 10~15년마다 2배로 증가함

               인터넷 데이터, 특허 수, 과학자 수 등도 유사한 패턴

 

        분산법칙 (Bradford's Law of Scattering)-특정 주제에 관한 논문이 몇몇 핵심 학술지(핵심구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나머지 논문은 더 많은 수의 학술지에 흩어져 있다는 분포 법칙

        예)  "인공지능" 논문을 찾으면, 몇몇 AI 전문지에 논문이 집중되어 있고,
               관련성은 낮지만 관련된 논문들이 컴퓨터공학, 의학, 사회과학지 등 다양한 저널에 분산되어 있음

 

 

 

7. 정보검색평가 연구 중 Cranfield 테스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57년과 1967년 사이에 두 단계에 걸쳐 수행되었고 각각은CranfieldⅠ, CranfieldⅡ라고 부른다.

② CranfieldⅠ은 색인자, 문헌, 탐색질문과 같은 다수의 변인이 포함된 환경에서 검색성능에 대해 색인 시스템의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③ CranfieldⅠ의 테스트 결과로 재현율과 정확률 사이에는 반비례관계가 있음을 알아냈다.

④ CranfieldⅡ는 하나의 색인장치가 검색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⑤ CranfieldⅡ의 테스트 결과로 단일어가 색인에 사용될때, 동일한 수준의 단어 특히 유사동의어의 포함은 성능을 저하시킴을 발견하였다.

 

 

정답: ④

 

해설: Cranfield Ⅱ는 단지 하나의 색인장치만을 평가하려는 목적이 아니라, 색인어의 종류(단일어 vs 복합어, 동의어 포함 여부 등)가 검색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즉, 여러 가지 색인 방식의 상대적 성능을 비교한 것.

 

 

 

8. 더빈(Brenda Dervin)이 주장하는 의미형성(sense-making) 이론의 핵심 개념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호소 – 이용 – 상황

② 상황 – 격차 – 이용

③ 이용 – 격차 – 호소

④ 이용 – 변이 – 상황

⑤ 호소 – 상황 – 변이

 

 

정답: ②

 

해설: 더빈(Dervin)의 의미형성(sense-making) 이론 - Situation-Gap-Use

        정보환경(Situation)에서의 격차(Gap)인식→정보획득을 위한 의식적 노력→정보 이용( Use)→새로운 의미 형성

 

 

 

9. 메타데이터의 유형과 이에 관한 설명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A. 관리적 메타데이터     B. 기술적 메타데이터
C. 보존메타데이터         D. 구조적 메타데이터
가. 정보자원의 검색을 도와주는 메타데이터이며 도서관, 정보시스템에서 정보자원의 검색·식별하는 목적을 갖는다.
나. 화면의 상호작용(interaction), 인터페이스적 측면에서 정보자원의 내비게이션과 화면표시에 사용된다. 서명, 페이지, 목차, 챕터, 파트, 색인 등과 같은 태그들과 관련되는 요소이다.
다. 디지털 자원의 이력 및 출처정보를 다루고 디지털 자원의 진본성 인증과 관련된 메타데이터 요소를 모두 포괄하는 메타데이터를 말한다.
라. 스캐너 유형과 모델, 해상도, 컬러, 파일포맷, 압축, 소유권자, 저작권날짜, 저작 및 배포 제한, 라이선스 정보 등과 같은 데 이터를 주요 관련요소로 한다. 

 

① A-가, B-라, C-다, D-나

② A-나, B-라, C-다, D-가

③ A-라, B-가, C-다, D-나

④ A-라, B-나, C-가, D-다

⑤ A-가, B-나, C-라, D-다

 

 

정답: ③

 

해설: 관리적 메타데이터-목적: 정보자원의 단기적/장기적 관리와 처리에 사용

                                    -주요 관련 요소들: 스캐너 유형과 모델, 해상도, 컬러, 파일포맷, 압축, 소유권자, 저작권 날짜 등

         기술적 메타데이터-목적: 정보자원의 검색, 식별

                                    -주요 관련 요소들: 고유 식별자들, 물리적 속성들(포맷, 크기, 차원 등), 서지적 속성들(서명, 저자, 언어 키워드 등)

         보존메타데이터-맥락 정보와 관련된 메타데이터

         구조적 메타데이터-목적: 정보자원의 내비게이션과 화면 표시에 사용

                                     -주요 관련 요소들: 서명, 페이지, 목차, 파트, 색인 등과 같은 구조적인 태그들

 

 

 

10. 차세대 OPAC에서 사용되는 적합성 정렬기능 중 구글의 적합성 순위화기법 PageRank와 가장 가까운 것은?

 

① 단어의 출현빈도순

② 인기도순

③ 최신출판물순

④ 탐색어의 인접도순

⑤ 필드가중치에 의한 적합성순

 

 

정답: ②

 

해설: PageRank 알고리즘 - 구글 검색 엔진에서 사용한 검색 결과의 웹페이지 적합성 순위화 기법

                                           웹페이지의 인기도에 따른 검색결과 순위화 기법

        OPAC(Online Public Access Catalog) - 도서관 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

        기존 OPAC은 단순 검색만 제공했지만, 차세대 OPAC은 검색 정확성, 추천, 개인화 기능까지 탑재되어 사용자 경험을 웹포털처럼 향상시키는 것이 특징

 

 

 

11. Information Common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통합 도서관 이용자 서비스 모델로 북미의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1990년대 초반에 등장하였다.

② 정보와 정보기술의 결합 및 이용자와 정보, 이용자와 사서, 그리고 이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③ OCLC와 LC가 합동으로 개발한 서비스로 온라인으로 서비스되고 있다.

④ 도서관 이용자의 방문 감소 등의 해결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⑤ 사회적 상호작용과 협력활동에 초점을 맞춘 통합 공간이다.

 

 

정답: ③

 

해설: Information Commons - 온라인 시스템이 아니라, 물리적+서비스적 통합 학습 환경이다.

        도서관에서 등장한 통합 정보 서비스 공간 개념으로, "협업형 디지털 학습 커뮤니티 공간"

        OCLC LC가 공동으로 개발한 정보 시스템은 VIAF 등이 있다.

 

 

 

12. IFLA의 FRBR 모형에서 제시하는 메타데이터의 기능이 아닌 것은?

 

① 검색기능

② 추론기능

③ 식별기능

④ 선택기능

⑤ 획득기능

 

 

정답: ②

 

해설: FRBR의 기능 - 검색기능(find): 이용자가 제시한 검색 기준에 부합하는 것들을 검색

                              - 식별기능(identify): 정보자원의 객체를 식별

                              - 선택기능(select): 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객체를 선택

                              - 획득기능(obtain): 선택한 객체에 대한 접근을 획득

 

 

 

13. 다음과 같은 색인 및 탐색정책을 갖는 시스템에서 “gone with the wind”라는 구문을 초록에서 검색하는데 가장 정확률이 높은 탐색식은?

가. an, and, by, for, from, of, the, to, with는 불용어
나. 출현 위치를 색인할 때 불용어 위치도 포함
다. 불리언연산자 AND, OR, NOT과 인접연산자 (nw) 사용
라. 탐색어는 스테밍이나 구두점 처리, 불용어 제거 등의 언어학적 처리를 하지 않고 그대로 탐색

 

① gone (1w) wind

② gone (3w) wind

③ gone (1w) with (1w) the (1w) wind

④ gone AND wind

⑤ gone with the wind

 

 

정답: ②

 

해설: 조건 정리-1. 불용어: with, the는 불용어

                        2. 색인 시 불용어 위치도 포함

                        3. 탐색 시 불용어 제거 안 함 → 불용어가 탐색어에 그대로 포함됨

                        4. 사용 가능한 연산자: 불리언연산자 (AND, OR, NOT), 인접 연산자 (nw)

                        5. 언어학적 처리 없음 (stemming, stopword 제거 등 없음)

          ① gone (1w) wind: with, the를 생략 → 불용어 생략된 표현

              두 단어 사이 단어가 1개 이내에 존재하면 일치하지만, 정확한 구문 "gone with the wind"는 총 3개의 단어가 있음

          ② gone (3w) wind: gone과 wind 사이 3단어까지 허용

              즉, "gone with the wind"처럼 중간에 with, the가 포함되어도 일치→ 색인에 불용어 위치도 포함

              gone (1)

              with (2) ← 불용어

              the (3) ← 불용어

              wind (4)
              ⇒ gone (3w) wind는 정확히 일치한다. 즉, 불용어를 명시하지 않아도 "gone with the wind"를 정확히 잡아낼 수 있음

 

          ③ gone (1w) with (1w) the (1w) wind: 모든 단어 포함 (불용어 포함)

              각 단어가 1단어 간격으로 정확히 연결되어야 함→ 즉, 정확히 "gone with the wind" 순서로만 일치해야하므로

              소수의 문서만 검색될 가능성이 높음 (정확률은 높지만 재현율은 낮음)

          ④ gone AND wind: 중간 단어 관계 없음, 단지 둘 다 존재하면 됨

              따라서 "gone through the hurricane wind"도 검색될 수 있음 → 정확률 낮음

          ⑤ gone with the wind

              자연어처럼 보이지만 주어진 조건에서는 "문자열 구문 검색" 기능이 있다고 언급 안 됨

              불용어 제거 등 처리 안 함 → 이대로 입력하면 불용어도 포함되므로 의미는 맞지만 시스템이 구문 검색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명확하지 않음

 

 

 

14. 다음 중 마이그레이션(migr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디지털 아카이빙에 사용되는 기법 중 하나이다.

② 디지털 아카이빙을 어렵게 하는 요인 중 ‘기술의 노화’를 해결할 수 있다.

③ 데이터의 형식과 구조의 변형없이 콘텐츠의 보존을 가능하게 한다.

④ 하드웨어의 교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다. 

⑤ 새로운 버전의 소프트웨어 출현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다.

 

 

정답: ③

 

해설: 마이그레이션 - 데이터를 종종 새로운 포맷이나 구조로 변환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또한 변환하는 과정에서 형식과 구조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예) WordPerfect 문서를 MS Word 형식으로 변환

 

 

 

15. 다음 <보기>의 내용과 Eisenberg와 Berkowitz의 Big6 모형의 절차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보 기>
가. 정보원의 활용 정도를 평가하여 최선의 정보원 선정
나. 최종과제물 작성
다. 정보 탐색
라. 적합 정보원으로부터 필요한 정보 추출

 

① 가 - 탐색전략 수립(information seeking strategies)

② 나 - 평가(evaluation)

③ 나 - 정보의 식별과 접근(location and access)

④ 다 - 정보이용(use of information)

⑤ 라 - 통합(synthesis)

 

 

정답: ①

 

해설: Big6 모형 - 정보문제의 정의: 해결해야 할 과제 또는 문제의 규명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 확인

                         - 탐색전략 수립: 이용 가능한 모든 정보원의 범위 확인

                                                   정보원의 활용 정도를 평가하여 최선의 정보원 선정

                         - 정보의 식별과 접근: 정보원에 대한 물리적·지적 접근

                                                          정보 탐색

                         - 정보 이용: 정보원 이용

                                            적합 정보원으로부터 필요한 정보 추출

                         - 통합: 다양한 자료에서 얻은 정보를 과제의 목적에 맞게 재조직

                                    최종과제물 작성

                         - 평가: 수집한 정보의 가치와 최종 과제물과의 관련성 평가, 효과성

                                    정보문제 해결 과정의 평가, 효율성

         ②, ③ 나 - 통합

         ④ 다 - 정보의 식별과 접근

         ⑤ 라 - 정보 이용

 

 

 

16. 자동색인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역문헌빈도 기법은 높은 정확률을 요구하는 검색시스템에 적합하다.

② 문헌분리가 기법에서 평균유사도가 클수록 문헌들이 밀집해 있다.

③ 구두점이나 전치사, 접속사, 조사 등을 단서로 하여 색인어를 찾는 방법을 구문분석기법이라 한다.

④ 서론, 결론, 요약 등의 제목을 갖는 특정한 부분에 나타난 주제어들을 색인어로 선택하는 방법은 단서어기법이다.

⑤ 문헌집단 내에서 많은 문헌에 출현하는 고빈도 단어는 밀집도를 감소시키고 이 때 문헌분리가는 0보다 큰 양(+)의 값을 갖는다.

 

 

정답: ⑤

 

해설: 고빈도 단어는 문헌 간 차이를 흐리게 하므로 밀집도를 낮추고 클러스터링의 품질을 떨어뜨린다는 점은 맞지만,

         문헌분리가는 문서 간 유사도와 분포에 따라 양수, 0, 음수 모두 가질 수 있다.

         특히 분리도가 낮고 오히려 군집이 섞일수록 분리가는 0보다 작아질 수 있다.

 

 

 

 

 

17. <보기>의 메타데이터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보 기>
가. 정보의 식별, 검색, 관리 및 이용을 용이하게 한다.
나. 도서관과 기록관(아카이브)에서는 전통적으로 RDA를 사용하여 소장자료의 메타데이터를 생성·이용해 왔다.
다. 관계형 DB의 속성(attributes)들도 메타데이터가 될 수 있다.
라. 웹사이트에서 물건을 구입한 구매자가 그 물건에 대한 평가를 구입후기로 올린 것은 메타데이터라고 할 수 없다.

 

① 가, 나

② 가, 다

③ 나, 다

④ 나, 라

⑤ 다, 라

 

 

정답: ②

 

해설: 나. 도서관과 기록관(아카이브)에서는 전통적으로 AACR2를 사용하여 소장자료의 메타데이터를 생성·이용해 왔다.

              RDA는 비교적 최근의 메타데이터 기술 규칙이다.

         라. 사용자의 후기도 "그 자원(상품)"에 대한 설명이자 정보이기 때문에 메타데이터로 간주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생성 메타데이터(user-generated metadata) 또는 사회적 메타데이터(social metadata)라고도 하며,

              태그, 평점, 댓글 등도 메타데이터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18. 디지털도서관의 통합검색요소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Z39.50 : 두 대의 컴퓨터가 정보검색을 위해 서로 통신하는 표준화된 방법을 정의

② ZING :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탐색과 레코드 검색을 위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메시지교환 형식과 절차를 규정

③ SRU :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고 그 결과를 보내기 위한 웹서비스 기반 프로토콜

④ OAI 프로토콜 : OAI저장소 간 정보를 쉽게 공유할 수있는 프로토콜

⑤ LDAP : 서버별로 존재하는 데이터를 통합하여 빠르고 정확한 정보검색서비스를 제공하는 표준 프로토콜

 

 

정답: ⑤

 

해설: LDAP - 기관 내 인증으로써, 디렉토리 서비스(사용자 정보, 인증 등)에 접근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므로

                     디지털도서관의 통합검색요소기술이라기보다는 사용자 인증 및 관리에 가깝다.

                     예) 조직 내 사용자 인증, 주소록 검색 등에 사용됨

 

 

 

19. <보기> 중 유사한 분야의 정보 시스템 간 메타데이터의 상호운용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모두 고른 것은?

          <보 기>
가. 크로스워크(crosswalk) 시스템을 운영한다.
나. 다양한 목록규칙을 적용한다.
다. OAI-PMH와 같은 메타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한다.
라.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운영한다.
마. 해당 정보센터 고유의 메타데이터 표준을 사용하여 자료를 조직한다.

 

① 가, 나

② 다, 라

③ 가, 다, 라

④ 나, 라, 마

⑤ 다, 라, 마

 

 

정답: ③

 

해설: 가. 크로스워크(crosswalk) - 서로 다른 메타데이터 스키마 간의 필드 매핑 체계

              예) Dublin Core ↔ MARC 변환

         나. 다양한 목록규칙을 적용하면 오히려 상호운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표준화 된 목록규칙을 통일하여 적용해야 한다.

              예) 서로 다른 기술 규칙(AACR2, RDA, ISBD 등)을 혼용하면 일관성 부족

         다. OAI-PMH - 메타데이터를 자동 수집(Harvesting) 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

         라.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 - 다양한 메타데이터의 스키마에 대한 요소, 정의, 매핑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마. 고유한(자체적인) 메타데이터 표준은 타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낮으므로,

              상호운용성을 위해서는 공통된 또는 매핑 가능한 표준 사용이 바람직하다.

 

 

 

 

20. <보기>에서 브라우징으로 정보를 찾는 방법에 대한 특징을 모두 나열한 것은?

          <보 기>
가. 브라우징 과정이 길어질수록 정확률이 감소되는 경향이 존재
나. 전체적으로 시스템과 이용자 사이에 매우 상호적인 과정
다. 기억에 의한 회상보다 적합정보의 recognition에 의존
라. 수행되기 전에 학습을 필요로 하는 구조화된 노력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가, 나, 다

⑤ 나, 다, 라

 

 

정답: ④

 

해설: 가. 브라우징은 사용자가 명확한 목표 없이 점진적으로 탐색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과정이 길어질수록 피로도 증가, 정보 과잉, 주의 분산 등의 이유로 정확률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나. 이용자가 시스템의 피드백에 따라 탐색 방향을 바꾸는 interactive한 활동이다.

             예) 카테고리를 눌러가며 점진적으로 범위를 좁혀가는 행동

        다. 사용자가 적합한 정보를 알아보는(Recognition) 방식으로 정보에 접근한다.

             명확하게 기억하고 회상하기(Recall)보다는 눈에 보이는 것을 인식하고 선택하는 방식

        라. 브라우징은 비구조적이고 자발적인 탐색 행동으로, 사전 학습이나 구조화된 계획이 필요하지 않다.